본문 바로가기
주식공부/내 맘대로 시장 바라보기

LG화학 / 전기차 관련주 / 전기차 배터리 / 제약바이오 관련주 / LG화학 전기차배터리 수주잔고 60조 상회

by 조각 모음 2018. 8. 18.
반응형

LG화학 / 전기차 관련주 / 전기차 배터리 / 제약바이오 관련주 / LG화학 전기차배터리 수주잔고 60조 상회 


LG화학이 올 상반기 전기차 배터리 수주 잔고 60조원 상회 기대감을 실현해 내며 글로벌 배터리 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여기에 올 하반기 동안에도 중국, 미주, 유럽을 타겟으로한 3세대 배터리로 수조원 이상의 추가 수주가 점쳐져 LG화학의 전기차 배터리 사업은 사실상 글로벌 독주 체제를 위한 전열을 가다듬어 놓은 상태다.


24일 진행된 LG화학 2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 따르면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수주잔고는 6월 현재 60조원을 돌파했고 2020년까지 전기차 배터리 매출로 8조원 달성이 예상된다. 


 



전지사업부 전체로는 올해 6조4000억원수준에서 2020년까지 14조원으로 오를 전망이다.


LG화학은 “현시점에서 수주 잔고를 고려할때 2020년까지 계획한 케파 70GWh에서 90GWh이상을 추가로 준비해야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와 관련한 세부 계획을 구상 중”이라고 밝혔다.





LG화학 주가 차트 


에너지저장장치(ESS)에 대해서는 "현재 한국 1GWh, 중국쪽 3GWh 등 총 4GWh의 케파를 보유하고 있지만 2020년에는 10GWh 수준까지 증가할 것"이라며 "자동차와 ESS 생산라인이 공용화 및 표준화되는 분위기를 통해 ESS 배터리 수요에 대응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최근 중국 난징에 설립하기로 결정한 전기차 제2공장을 중국 내수 및 글로벌 수출 기지로 활용한다는 뜻을 확고히 했다.


 



LG화학은 최근 김종현 전지사업본부장이 중국 장쑤성 난징시를 방문해 장쑤성 당위원장, 난징시 당위원장 등과 빈장 개발구역에 전기차 배터리 설립에 2조 2500억원을 투자하는 조인식을 체결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해 회사 측은 “중국을 제2공장으로 선택한 것은 아시아 지역 수출용 물량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며 “중국이 인건비, 물류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어서 결정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1공장이 난징에 있어서 기존 공장과의 운영 시너지, 인력 수급의 용이성, 원재료업체들과의 연계가 수월하다”며 “중국에서 전기차 보조금이 없어지는 2020년 이후에는 내수 및 수출용 기지 활용가치가 있다”고 덧붙였다.


제2공장은 오는 10월 착공해 내년 10월 양산을 목표로 진행되며 전기차 약 50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32GWh 용량의 배터리 생산 능력을 갖출 계획이다.


LG화학은 앞서 2015년 10월 중국 난징에 연간 순수전기차(EV) 5만대에 공급할 수 있는 약 3GWh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1공장을 설립했다.


한때 사드보복 조치로 내수물량 공급에 차질이 생겨 가동률이 10%대로 떨어졌던 난징 배터리 공장은 현재 해외수출용과 전력저장장치(ESS)로 물량으로 전환한 뒤부터는 다시 80~90% 가동률을 보이고 있다.





한편 LG화학은 전기차 판매 확대에 따른 자동차전지 매출 확대 및 ESS의 한국시장 성장, 소형전지의 신규 시장 확대 등으로 2분기 실적에서 7조519억원의 매출을 올렸고 영업이익은 분기 사상 최대치인 7033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전지부문 매출액은1조4940억원이다.



며칠전의 그 난리속에서도 주가는 든든하게 서 있었다. 


주요매출 속에서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을 계속 지켜보며 이래든 저래든 돈만 잘 벌어다오.


개미는 그냥 이렇게 바라볼 수 밖에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