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72

7월 11일 미국증시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7월 11일 미국증시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뉴욕증시가 하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계획을 내놓으면서 미중간 무역충돌이 확대되면서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날 대중국 수입의 절반에 해당하는 2000억 달러 규모의 6031개 중국산 제품에 10%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추가관세 부과는 최종 목록을 확정하기 위한 2개월간의 검토기간과 의견수렴을 거쳐 9월에 발효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증시 종합 중국 상무부는 "완전히 받아들일 수 없다"며 "중국 정부는 이전과 마찬가지로 어쩔 수 없이 필요한 보복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미국과 중국은 지난 6일 340억 달러 규모 상품에 대한 관세폭탄을 서.. 2018. 7. 12.
7월 11일 국내증시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7월 11일 국내증시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코스피 시장이 11일 미중 무역분쟁 우려에 하락 마감했다. 코스닥도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에 1% 넘게 하락하며 800대를 간신히 지켰다. 미국이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 수입품에 대해 10%의 추과 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면서 한국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등 주요 아시아 증시가 동반 하락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마켓전략실 팀장은 “미국의 중국산 물품 관세부과로 한국 증시가 단기 하락압력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으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앞서 5000억달러 관세 부과가 가능하다고 밝힌 만큼 단기 충격의 강도는 제한적일 것”이라며 “향후 중국의 입장 변화에 따라 글로벌 금융시장의 등락이 커질 전망”이라고 말했다. 코스피 지수 차트 코스피 .. 2018. 7. 12.
LG의 블루오션 공략, 다음 타깃은 ‘로봇’ / LG / LG전자 / 로보스타 LG의 블루오션 공략, 다음 타깃은 ‘로봇’ / LG / LG전자 / 로보스타 반도체 , 디스플레이 등 첨단 산업이 우리 나라의 주요 수출품 중 하나다. 전자 장비와 더불어서 AI 및 4차산업 그리고 5g와 연계한 모든 것들이 투자처가 되고 분석이 되고 있는 세상에 지금의 어린 아이들은 미래의 인공지능 혹은 로봇과 살아가야한다는 뉴스 혹은 다큐멘터리가 쉽게 보이고 있다.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고 그 부분은 로봇이 대체하고 있는 세상, 얼마전 LG에서 로보스타 인수설이 나왔다. 언론 플레이가 좋아서일까 관련 뉴스까지 또 나오는 아주 짜여진(?) 각본대로 움직이는 듯한 모습. 산업용 로봇을 생산하는 기업인 로보스타로부터 내년말까지 지분을 약 33%까지 늘린다는 방침. 로보스타 주가 차트 뉴스에서 전달하기를. .. 2018. 7. 12.
국민연금 / 스튜어드십코드 7월말 시행 / 오너리스크 국민연금 스튜어드십코드 7월말 시행 이번정부에서 기대되는 것이 많긴 하지만 외교 이슈 외에 국내 이슈가 외부 영향과 함께 맞물려가면서 특히 실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 최저임금과 같은 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는 노동시간까지... 작년에 개미 투자자들의 한줄기 구원의 빛이 될거라 생각한 '스튜어드십 코드'가 일정대로 시행되었다는 뉴스가 있다. 국민연금이 기관투자자의 책임 원칙인 '스튜어드십 코드'를 당초 일정대로 7월말 도입, 시행하기로 했다. 국민연금 주변에서 일고 있는 연기설을 일축한 것이다. 최근 국민연금 안팎에서는 스튜어드십코드를 실질적으로 집행할 기금운용본부 최고투자책임자(CIO) 공모 과정에서 청와대 인사 추천설, 내정설 등이 불거지고, 내부 투자실무책임을 맡은 실장급 8명 중 3명의.. 2018. 7.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