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공부/시황264 8월 24일 국내증시 시황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8월 24일 국내증시 시황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미국과 중국의 무역협상이 별다른 성과 없이 종료됐지만 코스피는 낙폭을 줄이며 상승 반전하며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 순매수에 엿새째 반등 흐름을 이어가며 2300선 회복을 목전에 뒀다. 장 초반 코스피는 약보합세로 출발했고 중간에 미중 무역협상이 결렬됐다는 소식이 전해졌지만 외국인과 기관 매수가 순매수로 돌아서며 지수는 상승 반전하며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 지수 차트 24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대비 10.61포인트(0.46%) 오른 2293.21에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794억원, 576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상승을 견인했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거래 46억원 순매수, 비차익거래 660억원 순매수.. 2018. 8. 26. 8월 24일 미국 뉴욕 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 미국 증시 사상 최고 8월 24일 미국 뉴욕 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 미국 증시 사상 최고 뉴욕증시가 상승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종가기준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이 점진적인 금리인상 기조를 재확인하며, 미국 경제의 강세를 강조한 데다 기업실적도 호조를 보이면서 투자심리를 끌어올리면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미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린 연준 연례심포지엄 연설에서 "임극과 고용의 탄탄한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점진적이고 추가적인 금리인상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또한 파월 의장은 "경제는 강하고 일자리를 원하는 대부분 사람이 일자리를 찾고 있다"며 미국경제에 대한 자신감도 나타냈다. 미국 뉴욕 증시 종합 그러면서도 파월 의장은 물가가 연준 목표치.. 2018. 8. 25. 8월 23일 미국 뉴욕 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 트럼프 탄핵 위기 / 미중 무역갈등 재고조 8월 23일 미국 뉴욕 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 트럼프 탄핵 위기 / 미중 무역갈등 재고조 뉴욕증시가 하락했다. 미중간 무역갈등 재고조와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적 위기가 투자심리를 악화시키며 3대 주요 지수 모두 약세를 보였다. 미국과 중국은 이날까지 이틀간 워싱턴에서 차관급 무역협상을 진행하는 가운데 미국은 예고한대로 이날부터 160억 달러의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했다. 중국도 이에 맞서 동일한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보복관세를 매겼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0일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중국과의 무역협상에서 많은 진전을 기대하지 않는다"고 밝히는 등 협상결과에 대한 기대는 높지 않은 상황이다. 미국 증시 종합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변호사였던 마이클 코언의 유죄.. 2018. 8. 24. 한한령 해제 / 중국 정부 한국 단체관광 부분 허용 / 서부t&d / 롯데지주 / 중국 화장품 관련주 / 아모레퍼시픽 / 코스맥스 한한령 해제 / 중국 정부 한국 단체관광 부분 허용 / 서부t&d / 롯데지주 / 중국 화장품 관련주 / 아모레퍼시픽 / 코스맥스 중국 정부가 17개월만에 한국행 단체관광을 허용했다. 23일 현지 언론 측은 일부 상하이 대형 여행사에서 한국 단체 관광 상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다만 춘츄, 진쟝, 중신, 중칭 등 소수 여행사를 상대로만 상품 판매가 허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중국 최대 온라인 여행사 셰청(씨트립), 페이주, 뤼마마 등 여행사는 아직 판매가 허용되지 않았다. 앞서 당국은 한국행 단체관광이 허용된 지역들과 마찬가지로 상하이 지역 여행사도 ‘4불(不) 원칙’을 준수토록 했다. 전세기 금지, 크루즈선 금지, 롯데그룹 산하 회사 (호텔 면세점 포함) 이용 금지, 온라인 관광 상품 판매.. 2018. 8. 23.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