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제약·바이오 ‘선진국 회계 관행’ 요구 않는다 / 제약바이오 감리 불확실성 제거 / 테마감리 제거 / 제약 바이오 관련주
금융 당국이 제약·바이오업체 회계 테마감리로 뒤숭숭한 업계 및 시장 다독이기에 나섰다. 금융 당국은 국내 기업에 선진국 글로벌 제약사의 회계처리 관행을 무리하게 요구하지 않기로 했다.
바이오기업들의 상장폐지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상장 제도 개선도 검토할 계획이다. 사실상 금융감독원 테마감리의 최종 조치 수위도 낮아질 전망이다.
김용범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30일 제약·바이오업체 회계처리 관련 간담회를 열고 “제약·바이오 분야와 같은 특수한 산업에는 ‘대화와 지도’ 방식의 감독을 활성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계기준의 모호성으로 생긴 오류에는 제재 같은 채찍보다는 개선권고나 시정조치 등 간접 수단을 활용하겠다고 했다. 또 빠른 시일 내에 제약·바이오 업체의 회계처리에 관한 세부 감독기준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4월 금융감독원의 바이오업체 테마감리 착수 이후 높아진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한다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제약·바이오산업은 그간 미래 성장성을 보고 투자자들이 많이 몰렸는데 리스크가 확산되면서 주가가 떨어졌다.
제약·바이오산업은 특성상 신약 연구·개발 단계에 많은 기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그런데 연구·개발비를 자산으로 처리할지, 비용으로 처리할지 딱 부러지는 기준이 없다. 독일 영국 등 주요 선진국 바이오업체들은 신약의 정부 승인이 났을 때 개발비를 자산화한다. 반면 한국 바이오기업들 중에선 임상단계의 개발비도 자산 처리하는 사례가 있다.
임상단계의 개발비를 자산화하는 건 실적 부풀리기에 악용될 수 있고, 투자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도 있다. 미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임상 1상 단계에서 신약의 판매 승인이 날 확률은 9.6%에 불과하다. 2상이 15.2%, 3상이 49.6% 정도다.
다만 금융위는 국제회계기준 자체가 모호한 측면이 있고, 국내 업체들이 복제약을 생산할 때의 회계처리 관행을 신약에 그대로 적용해온 점을 감안할 때 선진국 제약업체의 기준을 일률적으로 요구하는 건 무리가 있다고 밝혔다. 아직 구체적인 기준은 논의 중이지만 금융 당국은 임상 2상 이하는 비용으로 처리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기업들의 상장폐지 리스크를 해소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개발비를 비용으로 바꾸면 흑자가 적자로 바뀌는 기업들이 생기는데, 만약 4년 연속 적자면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고 5년째 적자면 상장폐지 심사 대상이 된다. 김 부위원장은 “기업의 재무상황을 잘 알린 기업들이 불합리한 상장 제도로 어려움을 겪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며 “제도 개선 필요성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보수적으로 회계처리를 했다고 상장폐지가 되는 일은 없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업계에서는 상장폐지 리스크나 금융 당국의 제재에 대한 불안감은 상당 부분 해소됐다는 평가다. 다만 한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시장 불확실성을 줄이려면 회계처리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빨리 나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금은 나아진 모양새다.
시장에서 받아들이는 반응은 좀 더 지켜봐야겠다.
제약 바이오 관련주에 엄청나게 불을 당겨줄까?
여전히 그 시장을 밝게 본다. 종목부터 째려보고 조금씩 담아가기.
올해 말까지 미국 시장만 4분기까지 조용히 계속 가 주길 바란다.
오늘도 빠지지 말고 계속!
개미의 주식 공부 주식 투자 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