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공부/시황264

7월 23일 미국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7월 23일 미국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뉴욕증시가 알파벳 등 대형 기술주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였다. S&P500과 나스닥종합지수는 금융주와 기술주의 강세에 상승했다. 하지만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무역전쟁 우려 등으로 인한 다른 업종의 약세에 소폭 밀렸다. 팩트세트에 따르면 이날 현재까지 S&P기업의 17% 이상이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82%가 시장전망치를 상회하는 순이익을 발표했다. 월가 전문가들은 2분기 S&P500 기업들의 순이익이 전년동기대비 20%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시장은 오는 27일 발표될 미국의 2분기 GDP(국내총생산) 성장률에 주목하고 있다. 로이터에 따르면 2분기 GDP성장률은 4.1%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 2018. 7. 24.
7월 23일 국내증시 시황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7월 23일 국내증시 시황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한국 주식시장의 대장주인 IT와 바이오주가 무너지면서 코스피와 코스닥이 동시에 모멘텀을 잃고 하락했다. 특히 수급 안전판이 없는 코스닥은 4% 가까이 급락하며 연중 최저치를 경신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는 시가총액 1,2,3위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셀트리온이 각각 2%, 7.05%, 6.3%씩 하락했다. 코스닥에서는 시총 1위인 셀트리온헬스케어가 10.08%, 신라젠이 13.27% 급락했다. 철강, 전기가스, 보험 등 강세 업종이 지수를 떠받친 코스피와 달리 코스닥은 대다수 업종 투자심리가 붕괴되며 지수가 750선까지 밀렸다. 코스피 지수 차트 23일 코스피 지수는 19.88포인트(0.87%) 내린 2269.31에 마감했다... 2018. 7. 24.
7월 20일 미국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7월 20일 미국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뉴욕증시가 약보합세를 보였다. 마이크로소프트 등 기업실적은 호조를 보였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 다시금 무역전쟁 공포를 불러일으키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필요하다면 중국에서 수입하는 제품 전체인 5000억 달러에 관세를 부과할 준비가 돼있다고 밝혔다 미국 증시 종합 월가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위협이 다시 무역전쟁의 공포를 고조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또한 기업실적 기대감이 이미 상당부분 주가에 반영돼 주가의 큰 상승은 어렵다는 분석도 나왔다. 다우존스 지수 차트 20일(현지시간)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6.38포인트(0.03%) 하락한 2만5058.12로 거래를 마쳤다. IBM(-.. 2018. 7. 23.
7월 20일 국내증시 시황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7월 20일 국내증시 시황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코스피 시장이 20일 닷새 만에 소폭 상승했다. 코스닥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에 대다수 종목이 하락하면서 800선 진입에 더 멀어졌다. 이날 하락 출발한 코스피는 장중 외국인 매도세에 한때 2269.55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오후 들어 기관과 개인이 순매수에 나서면서 우상향으로 방향을 틀었다. 조연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최근 박스권에 머무르고 있는 코스피는 중국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 인상 발효 등으로 앞으로도 계속 조정을 받을 것"이라며 "달러 강세로 외국인이 매수 주체로 부각되기에도 여의치 않은 상황인 만큼 원화 약세에 따른 IT(정보기술) 등 수출주 중심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코스피 지수 차트 코스피 지수.. 2018. 7.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