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공부/시황264

7월 27일 미국 뉴욕 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7월 27일 미국 뉴욕 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뉴욕증시가 하락했다. 미국의 2분기 경제성장률이 4.1%로 4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기술주가 인텔과 트위터로 인해 급락하면서다. 미 상무부는 이날 2분기 GDP(국내총생산) 성장률 속보치가 연율 4.1%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2014년 3분기 이후 최고치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 이전에 한껏 기대감을 높이면서 4.2~4.4%까지 치솟은 시장전망치에는 미치지 못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는 4.1%보다 더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이라며 "우리는 현재 연 3% 이상의 성장률 궤도에 올랐고, 실질적으로 3%를 넘길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뉴욕 증시 종합 달러는 약세를 보였다. 미국의 2분기.. 2018. 7. 29.
7월 27일 국내증시 시황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7월 27일 국내증시 시황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코스피가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다. 개인과 기관이 함께 매도에 나섰으나 외국인 자금이 유입되며 지수 반등을 견인했다. 코스닥은 그동안 지수 하락을 주도했던 바이오주가 반등하면서 지수 회복을 이끌었다. 27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대비 5.93포인트(0.26%) 오른 2294.99으로 마감했다. 오전까지 상승세를 유지하면서 2300선 재진입을 노렸지만 개인과 기관이 팔자로 돌아서면서 뒤로 미뤄졌다. 코스피 지수 차트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634억원 순매수를 기록했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836억원, 799억원 순매도로 집계됐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거래 142억원 순매수, 비차익거래 1204억원 순매수 등 전체 1347억원 매.. 2018. 7. 28.
7월 26일 미국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7월 26일 미국증시 시황 / 다우지수 / 나스닥지수 / S&P500지수 뉴욕증시가 미국과 유럽연합(EU)간 무역합의와 페이스북의 폭락 속에 혼조세를 보였다.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100포인트 이상 올랐지만, 나스닥종합지수는 1%나 급락했다. 산업주들은 미국과 EU간 무역합의에 힘입어 상승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과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회 위원장은 전날 관세장벽을 낮추기 위한 협상을 시작하고, 미국산 콩과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확대하기로 합의했다. 또한 협상을 진행하는 동안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기 않기로 했다. 미국 뉴욕 증시 종합 해외 매출 비중이 높은 캐터필러는 1.5% 올랐다. 3M과 보잉도 상승했다. 달러는 유로약세에 강세를 보였다. 유럽중앙은행(ECB)가 이날 제로 기준 금리 등.. 2018. 7. 27.
7월 26일 국내증시 시황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7월 26일 국내증시 시황 코스피 / 코스닥 / 코스피200 / 선물지수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 순매수세에 2230선 탈환을 눈앞에 뒀다. 코스닥도 외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에 2% 반등했다. 주요 기업들이 지난 2분기 실적을 속속 발표하고 있는 가운데 실적과 이익성장 전망에 따라 개별 종목들의 주가 희비도 엇갈렸다. 코스피 지수 차트 코스피 지수는 전일대비 16.03p(0.71%) 오른 2289.06 마감으로 마감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는 외국인이 1247억원, 기관이 127억원을 순매수다. 반면 개인은 1354억원을 순매도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거래 238억원 순매도, 비차익거래 255억원 순매수 등 전체 17억원 매수 우위다. 지수선물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832계약, 2290계약 순.. 2018. 7. 27.
반응형